시각장애인의 이해
대체자료
“대체자료”란 장애로 인해 일반적인 인쇄물을 읽을 수 없는 모든 장애인의 정보 접근을 지원할 목적으로,
장애 유형에 따라 쉽게 정보에 접근·이용할 수 있도록, 맞춤형으로 제작·변환한 인쇄자료의 특수 버전입니다.
국내에서 매년 출판되는 신간 발행 종수는 약 6만 종 내외인데, 이중 시각장애인이 접근할 수 있는 대체자료의 비율은 약 12%에 그치고 있습니다.
이에 시각장애인의 학습·직업·여가·자기계발 등의 분야에서 정보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한 대체도서의 제작·보급이 절실히 요구됩니다.
시각장애인용 대체자료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.
점자도서 (Braille Book)
- 시각장애인을 위한 독서매체로서 인쇄자료에 대응하는 자료 유형
- 6개의 점이 하나의 구성단위를 이루고 있으며, 돌출된 점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손끝으로 읽을 수 있도록 제작된 도서로,
종이로 출판된 점자도서와 파일형식의 점자전자도서로 구분
데이지 자료 (DAISY: Digital Accessible Information System)
- 시각장애인과 독서장애인을 위한 멀티미디어 전자책으로, 아날로그 방식의 음성도서를 국제표준 규격에 따라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파일로 변환 발전시킨 것
- 저작툴과 플레이어가 한 세트이며 오디오, 텍스트, 이미지, 동영상, 점자파일까지 하나의 디지털 포맷으로 저장 가능
음성도서
- 도서 내용을 낭독자가 녹음하여 저장한 카세트녹음도서, 음성전자도서, 텍스트 전자도서(컴퓨터 음성으로 변환) 등이 포함되며 최근에는 아날로그 오디오를
디지털 형태로 변환·발전시켜 서비스를 제공하는 추세
확대도서 (Large Print Text)
- 저시력으로 인하여 원래 크기의 문자나 도표를 읽기 어려운 장애인을 위해 글자 크기를 약 18포인트 정도 확대한 것으로, 개인의 필요에 따라서 확대 복사하여 사용 가능
촉각 도서 (Tactile Book)
- 문헌의 내용을 전달하는 것 외에 책의 전체 내용을 풍부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다양한 재료로 그림을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하거나 점자로 그림을 표현하여 손끝의 촉각으로 그림을 인지하게 하는 도서 유형
화면해설 비디오
- TV 프로그램을 녹화하거나 비디오로 출시된 영화 등에서 중요한 시각적 요소(액션, 배경, 몸짓, 그래픽)에 대한 해설을 삽입한 형태